실시간 전화 상담 시간 [ 월-금 오전 9시 - 오후 6시 ]

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2탄 –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방법론

 

1. SBTi 개요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는 2014년 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이 공동으로 설립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SBTi는 파리협정의 목표인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기업과 금융기관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현재 전 세계 약 11,600개 기업 및 금융기관[1]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87개 기업 및 금융기관[2]이 참여 중입니다.

 

2. 사전 준비사항

SBTi 가입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입니다. SBTi는 기업의 온실가스 보고 경계가 재무 회계 경계와 일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는 연결 회계 기준에 따라 모든 조직(본사, 해외사업장, 종속회사 등)을 포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인벤토리의 완결성은 SBTi 검증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검토되는 요소이므로, 누락 없이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SBTi는 기업의 Scope 3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Scope 1+2+3)의 40% 이상일 경우 Scope 3 감축 목표 설정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Scope 3를 포함한 인벤토리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Scope 3 인벤토리가 구축되지 않았다면 검증 절차 진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제3자 검증은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력히 권장되는 절차입니다. 배출량은 산정 범위나 배출계수의 설정 방식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제3자 검증을 통해 산정 체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일관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증 과정을 거치면 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산정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SBTi는 배출량 산정 방법론이 변경되어 기준연도 배출량이 달라진 경우,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때 감축 목표 역시 재수립이 필요하므로, 사전에 제3자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장기적인 목표 관리와 외부 공시 시의 신뢰도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제3자 검증 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알아보기
온실가스 제3자 검증의 필요성과 기업 대응방안 - (1탄) 검증 필요성
온실가스 제3자 검증의 필요성과 기업 대응방안 - (2탄) 온실가스 검증 표준 및 지침과 준비

 

3. 과학기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방법론

3-1. 기준연도 설정(Base year)

기준연도는 감축 목표의 출발점이 되는 기준선(Baseline)으로, 해당 연도의 배출량이 이후 감축량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SBTi는 기업의 일반적인 배출 현황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연도를 기준연도로 설정할 것을 권고하며, Scope 1·2와 Scope 3의 기준연도는 가급적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SBTi는 2015년 이후의 연도를 기준연도로 인정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연도(MRY, Most Recent Year)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는 최신 데이터일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만약 MRY가 아닌 과거 연도를 기준연도로 사용할 경우, 검증 과정에서 그 사유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며, FLA Adjustment[3] 적용에 따라 감축 목표가 더 강화될 수 있습니다.

3-2. 목표연도 설정(Target year)

목표연도는 기업이 설정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약속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SBTi는 목표연도를 단기 목표(Near-term)와 넷제로 목표(Net-zero)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단기 목표는 목표 제출 시점으로부터 5년에서 10년 이내에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하며, 넷제로 목표는 2050년 이전의 연도를 목표연도로 정해야 합니다.

기준연도와 목표연도 간의 간격은 감축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목표 설정 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Scope별 포함 범위(Coverage)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릅니다. Scope 1과 Scope 2는 단기 목표와 넷제로 목표 모두 전체 배출량의 95% 이상을 포함해야 하며, Scope 3는 단기 목표에서는 67% 이상, 넷제로 목표에서는 90% 이상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3-3. 감축 목표 수립 방법론 결정

SBTi는 기업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SDA(Sectoral Decarbonization Approach)와 ACA(Absolute Contraction Approach)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합니다.

SDA는 산업별 특화 감축 접근법으로, 건물, FLAG, 금융기관, 육상 운송, 시멘트, 철강, 발전, 항공, 해상운송 등 다양한 산업 부문에 적용됩니다. 일부 산업은 SDA 적용이 의무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목표를 수립하기 전에 자사의 산업이 SDA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SDA가 적용되지 않는 산업의 경우에는 ACA, 즉 절대 감축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ACA는 기준연도 배출량을 기준으로 매년 일정 비율만큼 감축하는 방식으로, WB2℃(Well-below 2℃) 경로와 1.5℃ 경로의 두 가지 감축 시나리오가 제시됩니다. WB2℃ 경로는 연평균 2.5% 감축, 1.5℃ 경로는 연평균 4.2% 감축을 기준으로 합니다.

현재 Scope 1과 Scope 2는 1.5℃ 경로만 검증이 가능하며, 2030년까지 최소 42% 감축을 달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연도가 2019년이고 목표연도가 2030년인 경우 약 46.2%의 감축이 요구됩니다. 기준연도가 과거일수록 또는 목표연도가 2030년보다 미래로 설정될수록, 요구되는 감축률은 더 높아집니다.

한편 Scope 3는 WB2℃ 경로를 적용할 수 있으며, 2030년까지 최소 25% 감축이 필요합니다. Scope 1·2와 동일하게 기준연도와 목표연도의 설정에 따라 요구 감축률이 달라지므로, 산업 구조와 배출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예시) 과학기반 감축 목표 설정

기업 A의 2024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Scope 1·2에서 20,000톤, Scope 3에서 50,000톤으로 산정되었다고 가정합니다. 감축 목표의 기준연도와 목표연도는 각각 2024년, 2030년으로 설정하고, ACA 방법론을 적용합니다.

Scope별 포함 범위(Coverage)는 SBTi 기준에 따라 Scope 1·2는 100%(95% 이상), Scope 3는 67%를 적용하고, 이에 따라 기준연도 배출량은 Scope 1·2가 20,000톤, Scope 3가 33,500톤으로 설정됩니다.

Scope 1·2는 1.5℃ 경로에 따라 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42%를 감축해야 하며, Scope 3는 WB2℃ 경로에 따라 25% 감축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2030년 목표연도의 배출량은 Scope 1·2가 11,600톤, Scope 3가 25,125톤으로 산정됩니다. 이처럼 각 Scope별 포함 범위와 감축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과학기반 감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SBTi의 과학기반 감축목표 수립 방법론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SBTi 검증 프로세스와 유의사항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선언 기업(Committed): 2,645개, 검증 완료 기업(Targets set) : 8,955개

[2] 국내 참여기업 주요 현황 – 참여선언(24개): 현대자동차, 기아, HL만도 등, 가입완료(63개): 현대모비스, 현대건설, SK텔레콤, SK에코플랜트, LG전자,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등

[3] FLA(Forward-looking Ambition) Adjustment : 가장 최근 연도를 기준연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최근 연도 배출량에 따라 Scope 1·2 감축 목표가 강화될 수 있습니다. SBTi에서 제공하는 Corporate Near-term Tool 을 통해 자동으로 조정된 목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유용한 탄소중립 소식을 편하게 받아보고 싶다면 엔츠 뉴스레터 구독 신청하기

구독하실 경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과 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하게 됩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동의) 광고성 정보가 뉴스레터에 포함될 경우 반드시 메일 제목에 '(광고)'를 붙여 메일을 발송하며, 광고성 정보 수신 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량의 측정, 공유, 분석 그리고 감축과 거래까지

탄소중립 관리, 엔스코프에서 시작해보세요!

전화상담: 02-6956-1130 / 이메일 문의: [ info@aents.co ]